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상식

[시사/이슈]중국 경제 위기?! 장기불황으로 들어서는 중국

by 아워스토리 2023. 8. 20.
728x90
반응형
SMALL

요즘 신문, 뉴스에서 중국 경제에 관한 이야기가 뜨겁습니다.

 

부동산 시장부터 시장경제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40년 호황이

 

끝났다면서 중국 경제 위기론을 대두하고 있는데요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디플레이션 >

 

< 중국 생산자, 소비자 물가 흐름 >

 

중국 소비자 물가가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졌습니다.

물가가 오히려 떨어졌다는 건데요,

 

물가가 떨어져서 좋은게 아니냐라고 하실 수도 있지만

물가가 떨어진다는거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GDP 증가에 따른 물가상승은 기본 경제 논리)

 

그래서 인플레이션보다 디플레이션이 더 위험하다고 합니다.

이런 디플레이션의 원인은 부동산 시장 침체생산성 감소가 주된 원인입니다. 

 

그래서 중국은 미국, 한국, 일본 등의 주요 국가들이 금리를 올리는 와중에

오히려 금리를 내렸는데요, 0.1% 수준으로 크게 내린 건 아니지만

디플레이션이 계속 될 수록 앞으로 금리를 더 내릴 것입니다. 

 


 

< 실업률 >

 

중국 국가 통계국은 매월 연령대별 실업률을 공개했는데

갑자기 최근 7월 연령대별 실업률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내부적인 말로는 좀 더 구체적이고 최적화된 통계 작성을 위해라고 하지만,

전문가들이 판단하기로는 공개하기조차 힘들 만큼 실업률이 올라

숨기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6월 마지막으로 발표한 실업률은 21.3%로

지난 4월부터 3개월 연속 20%가 넘는 실업률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에 앞으로 늘어나는 대학 졸업생들로 인해

청년 실업률은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부동산 침체와 신탁회사의 위기 >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글을 올리면서

헝다그룹이 파산위기에 직면했다는 내용을 담은적 있습니다.

이러한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계속되는 이유는

중국정부의 통제로 인해 부동산 업체들이 빚을 갚지 못하면서

덩달아 부동산 회사에 투자한 신탁사마저 위기에 처한 것입니다.

 

중국의 대표적인 신탁사 중롱은 3천 500억 위안, 한화 약 64조 원의

만기 상품 예금 지급을 미루면서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습니다.

 

이렇듯이 중국의 대표적인 부동산회사와 그에 딸린 신탁사들이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면서 중국경제가 위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중국 경제 침체가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가장 큰 우려가 되는 부분은 무역입니다.

 

우리나라는 국가별 무역 비중에서 중국이 20%를 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경제의 침체는 우리나라 무역 수출, 수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수출로 인한 무역수지가 감소하고 중국에게서 수입해 오던

원자재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또한 문제가 되겠네요. 

 

 

 

 

728x90
반응형
LIST